728x90
- 선거인단(Electoral College): 미국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당사자들입니다. 미국 50개 주와 워싱턴 DC를 대표하는 선거인단이 투표해서 과반 수 이상 득표한 후보가 대통령에 최종 선출 됩니다.
- 사전투표(Pre-Poll, Early Voting): 미국 대선 투표 방식은 우편 투표, 조기 현장투표, 선거 당일투표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. 사전투표는 우편 투표와 조기 현장투표를 합친 개념입니다.
- 일반투표(Popular Vote): 투표권이 있는 국민들이 투표소에 가서 지지하는 후보와 당을 뽑는 투표 형태입니다. 여기까지는 우리나와 투표와 동일하지만, 미국은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에게 직접 표를 주는 게 아니라 특정 당의 후보를 지지한다고 약속한 본인의 지역 선거인단에 표를 주는 형태입니다.
- 승자독식(Winner Take All): 표 차이에 상관없이 말 그대로 승리한 당 후보가 해당 주(State)의 승리를 송두리째 차지하는 개념입니다. 그러다 보니 전체 유권자 표를 더 많이 획득하고도 선거인단 수에 밀려 대선에서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.
- 스윙 스테이트(Swing State): 배틀그라운드 스테이트(Battleground State)로 불리기도 합니다. 즉, 양 당의 지지율이 비슷해 선거 때마다 매번 다른 정당이 선출되는 경합지역을 의미합니다.
- 콜링 더 레이스(Calling the Race): '승자를 호출한다'라는 의미로 출고조사를 의미합니다.
- 세이프 하버 데드라인(Safe Harbor Deadline): 대선이 끝난 후, 각 주(State) 별로 투표 결과에 따라 주정부의 승인이 이루어져 선거인단을 확정하는 날입니다. 선거인단은 이날까지 최종 지지 후보에 대한 이견을 정리해야 합니다. 이날을 넘겨서도 투표 결과가 확정되지 않으면 선거인단 선출은 의회로 넘어가거나,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아래 링크를 통해 미국 대선 방식에 대해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2024.03.13 - [미국 대선] 미국 대통령 선거 방식 (선거인단, 승자독식)
728x90
'트래블스토리 > 미국스토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길이 단위(feet, inch, yard, mile), 야드파운드법 환산 방법 및 단위별 적용 (0) | 2024.05.09 |
---|---|
2024년 미국 썸머타임 (Summer Time / DST) (0) | 2024.05.07 |
2024년 미국 공휴일(국경일) 총정리 (0) | 2024.05.07 |
미국 복권: 메가밀리온, 파워볼, 복권 당첨시 세금은? (0) | 2024.05.07 |
미국 대선 제도, 미국 대통령 선거 방식 (선거인단, 승자독식) (0) | 2024.03.13 |